┃원츠넷, 자체 MSP 서비스 ‘원츠패스’로 SSE 시장 확대 박차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한 환경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기업이 VPN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원격 근무 환경이나 본사와 지사 연결을 위해 SSL/TLS 프로토콜을 이용해 보안이 강화된 원격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SSL VPN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널리 사용되는 SSL VPN에도 한계가 있다. 접근 경로만 확보되면 내부 네트워크로의 진입이 쉽고, 일단 들어오기만 하면 사용자에게 과도한 권한이 부여돼 내부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공격자가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한다면 시스템 전체를 침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점마다 하드웨어 장비 구축이 필요하다. 지점이 여러 개 있다면 구매 비용이 늘어나고 설치 공간에 대한 부담도 커질 수 있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은 이러한 SSL VPN의 한계를 극복한 클라우드 기반의 SSE(Security Service Edge) 솔루션을 선보였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는 50가지 이상의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단일 인터페이스로 통합해 빠르고 안전한 원격 접속 환경을 구현한다.
SSL VPN 취약점 보완 ··· 운영 효율·비용 절감 효과 탁월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는 ZTNA(Zero Trust Network Access)를 기반으로 모든 접근을 사전에 검증하고, 사용자별 보안 정책 적용을 통한 최소 권한 원칙으로 SSL VPN의 한계를 보완한다.
또한 SWG(Secure Web Gateway)를 통해 웹 기반의 위협과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고, CASB(Cloud Access Security Broker)로 사용자와 SaaS 간의 연결을 중재하며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한다. DEM(Digital Experience Monitoring)으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접속 상태 파악은 물론 이슈 발생 시 빠른 대응도 가능하다.
운영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췄다. 관리자는 직관적인 UI를 통해 모든 사용자의 접속 여부는 물론 접속 시간대 확인, 권한 설정 여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클릭 몇 번으로 특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서버, 접속 가능 시간대 지정 등 필요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운영을 효율화할 수 있다.
비용 절감 효과도 크다. SSE 커넥터를 통해 클라우드로 어디서나 한 번에 다수의 지점과 연결돼 별도의 하드웨어 장비가 불필요해 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도 없다.
IT 인프라 걱정 없이 효율적인 업무 환경 누려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플래티넘·PBS·MSP 파트너인 원츠넷은 자체 MSP 서비스인 ‘원츠패스(Wants PASS)’를 통해 고객이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를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시장을확대해 나가고 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고성능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독형 서비스인 원츠패스는 도입, 구축, 유지보수 및 관리까지 모두 IT 전문가가 지원해 뛰어난 보안 인프라를 구축하고 경험할 수 있다.
원츠패스를 통해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를 도입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국내 1위의 외식 분야 예약서비스 앱 개발 기업을 꼽을 수 있다. 원츠패스를 통해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제품과 솔루션을 도입해 IT 인프라를 운영 중인 이 기업은 외부 환경에서도 원격으로 내부 시스템에 접근할 방법을 찾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를 추가로 도입했다.
이는 HPE 아루바 네트워킹 SSE의 국내 첫 도입 사례로, 자체 SASE 망을 직접 구축하고 운영 중인 원츠넷의 뛰어난 기술력이 더해져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는 물론 견고한 보안을 바탕으로 IT 인프라에 대한 걱정 없이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누리고 있다.
원츠넷 관계자는 “원츠넷은 HPE 아루바 네트워킹과 함께 더 많은 고객에게 우수한 IT 인프라 경험을 제공하고, AI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을 지속 개발하고 연구해 시장 경쟁력과 입지를 더욱 탄탄히 다져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